[인문사회] 지구상의 물의 역싸 및 특징, 이용, 未來 / 지구상의 물의 역싸 및 순환속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2:58
본문
Download :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특징, 이용, 미래.hwp
지구상의 물 총량은 일정하므로 빙하의 양이 증가하면 해면은 낮아진다. 지표수의 양은 〔표 1〕처럼 물의 총량에 비하면 적으나 순환속도가 빠르며 수자원으로서도 가장 중요하다. 지하수는 빙하 다음으로 양이 많고 그 분포 범위는 육지의 거의 전역에 미치는데, 총량의 정확한 추정은 어렵다. 전 빙하 중 89.7%는 남극대륙에, 또 9.8%는 그린란드와 북극지역에 있다. 해양의 平均(평균) 수심은 3795m이며, 총량을 지구의 겉넓이로 나누면 2647m가 된다. 지금부터 1만 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최성기의 빙하는 현재 양의 약 3배 정도로 지구의 平均(평균) 해면은 약 130m 낮았다고 추정된다. 〔표 1〕의 값은 1951년에 C.S. 폭스가 지하수가 차지하는 암석의 간극률(間隙率)을 지표에서 깊이 760m까지는 4%, 760∼3750m는 1%로서 추정한 값이다. 빙하는 육지넓이의 11%를 덮으며, 육수부피의 70%를 차지한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특징 이용 미래 /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순환속도
지구상의 물의 역싸 및 순환속도와 이용 1. 지구상의 물 (1) 물의 양...
Download :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특징, 이용, 미래.hwp( 85 )
순서
설명
지구상의 물의 歷史 및 순환속도와 이용 . 지구상의 물 (1) 물의 양과 분포 지구상의 물은 해수와 육수로 나뉘며 그 외 소량의 물이 대기 중에 존재한다. 〔표 1〕의 토양수의 양은 식물에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의 추정값이다. 해수는 지구표면의 70.8%를 덮고 있으며, 지구상 물 총량의 97.5%를 차지하고 있다. 대기 중의 수증기를 모두 응결시킨 물의 양을 가 강수량(可降水量)이라 하는데 전 지구의 平均(평균) 가 강수량은 25㎜이다. 생물체 속의 물의 양은 동물과 식물을 합하여 1000㎦ 정도로 추정한다. 가 강수량의 지리적 분포는 위도,...
지구상의 물의 역사 및 순환속도와 이용 1. 지구상의 물 (1) 물의 양...





[인문사회] 지구상의 물의 역싸 및 특징, 이용, 未來 / 지구상의 물의 역싸 및 순환속도
다. 그러나 북극권에서는 증발이 적은 데다 영구빙토로 배수조건이 나쁘며, 담수넓이율이 30% 이상인 지역도 있다. 소련의 M.I. 리보비치는 73년에 토양수의 총량을 8만 3000㎦로 추정하였다. 또 장래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기후가 온난화하면 해면이 상승하고 해안 저지역에 심각한 effect(영향) 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된다. 육수 중에서 호소수나 하천수 등의 지표수는 육지넓이의 3%를 덮고 있는 데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