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12:43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hwp
![[교육과정%20및%20교육평가]%20우리나라%20교육과정의%20변천과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8F%20%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B%B3%80%EC%B2%9C%EA%B3%BC%EC%A0%95_hwp_01.gif)
![[교육과정%20및%20교육평가]%20우리나라%20교육과정의%20변천과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8F%20%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B%B3%80%EC%B2%9C%EA%B3%BC%EC%A0%95_hwp_02.gif)
![[교육과정%20및%20교육평가]%20우리나라%20교육과정의%20변천과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8F%20%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B%B3%80%EC%B2%9C%EA%B3%BC%EC%A0%95_hwp_03.gif)
![[교육과정%20및%20교육평가]%20우리나라%20교육과정의%20변천과정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8F%20%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B%B3%80%EC%B2%9C%EA%B3%BC%EC%A0%95_hwp_04.gif)
![[교육과정%20및%20교육평가]%20우리나라%20교육과정의%20변천과정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8F%20%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B%B3%80%EC%B2%9C%EA%B3%BC%EC%A0%95_hwp_05.gif)
![[교육과정%20및%20교육평가]%20우리나라%20교육과정의%20변천과정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8F%20%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A%B5%90%EC%9C%A1%EA%B3%BC%EC%A0%95%EC%9D%98%20%EB%B3%80%EC%B2%9C%EA%B3%BC%EC%A0%95_hwp_06.gif)
Ⅰ. 일제 식민통치기간
1. 제 1차 조선교육령 시기(1911. 8. 23)
2. 제 2차 조선교육령 시기(1922. 2. 4)
3. 제 3차 조선교육령 시기(1938. 3. 3)
4. 제 4차 조선교육령 시기(1943. 3. 8)
Ⅱ. 교수요목기(광복 후~1954. 4. 20)
1. 배경
2. 특징
Ⅲ. 제 1차 교육과정기(1954~1963)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2. 구성방침 및 목표(goal)상의 특징
3. 체제 및 편제상의 특징
Ⅳ. 제 2차 교육과정기(1963~1974)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2. 구성방침 및 목표(goal)상의 특징
3. 체제 및 편제상의 특징
Ⅴ. 제 3차 교육과정기(1974~1981)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2. 구성방침 및 목표(goal)상의 특징
3. 체제 및 편제상의 특징
Ⅵ. 제 4차 교육과정기(1981~1987)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2. 기본방향 및 목표(goal)상의 특징
3. 편제 및 운영상의 특징
Ⅶ. 제 5차 교육과정기(1987~1992. 6)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2. 기본방향 및 목표(goal)상의 특징
3. 체제 및 편제상의 특징
Ⅷ. 제 6차 교육과정기(1992~1997)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2. 구성방침 및 바람직한 인간상
3. 체제 및 편제상의 특징
Ⅸ. 제 7차 교육과정기(1997~)
1. 개정과정 및 이념상의 특징
2. 목적 및 구성방침의 특징
3. 개定義(정의) 중점사항
4. 특징
1937년 중일전쟁이 처음 된 이후 일제는 한반도를 전쟁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기지로 만들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였다. 보통학교와 소학교, 고등보통학교와 중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와 고등여학교로 이원화되어 있던 학교명을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로 통일하였다. 여기서는 중학교와 고등여학교의 수업연한을 4년으로 축소하였고 제 3차 조선교육령에서 수의과목으로나마 남아있었던 조선어가 교육과정에서 아예 빠져 버렸으며, 일본어 교육이 강화되었다.
Ⅱ. 교수요목기(광복 후~1954. 4. 20)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 교육은 교육과정에 따라 변하여왔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또한 조선어를 수의(隨意)과목으로 바꾸고, 황국신민화 교육을 더욱 본격화하였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4. 제 4차 조선교육령 시기(1943. 3. 8)
제 4차 조선교육령은 학교교육을 전시체제에 적합하도록 개편하고 황국신민화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국민의 기초적 연성’이라는 명목 아래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바꾸는 국민학교령을 공포하고, 교과목을 국민과, 이수과, 체련과, 예능과, 직업과로 통합하였다.
1941년에는 제 3차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황국신민화 교육을 더욱 강화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는 체련과가 중시되었으며, 국민학교의 직업과도 강화되었다.
1. 배경
일본 강점시대의 것을 사용하지 말 것을 지시한 채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를…(생략(省略))
[교육과정및교육평가]우리나라교육과정변천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다.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전체적인 이념이나 목적은 물론, 각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goal), 내용체계, 단원별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과학습과 관련된 세세한 부분을 규정하고 있따 때문에 교육과定義(정의) 변천은 단순히 교육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사회적인 變化에도 직접적으로 커다란 影響을 받았다.
Download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hwp( 91 )
설명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리포트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회차별 변천과정의 배경과 내용, 특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교육정책 또한 이러한 식민통치의 방향에 맞춰 바뀌었다 제 3차 조선교육령에서는 한국인의 전시동원을 위한 동화정책을 강화하였다. 여러모로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여러모로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교육과정및교육평가]우리나라교육과정변천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사범교육레포트 ,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리포트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회차별 변천과정의 배경과 내용, 특징에 대해서 요약했습니다. 중학교와 고등여학교의 경우도 국민학교와 마찬가지로 교과목을 국민과, 이수과, 체련과, 예능과, 외국어과로 통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