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답사기 『 공심돈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22:02
본문
Download : 수원화성 답사기 『 공심돈 』.hwp
또한 성벽을 이루는 각각의 석재의 크기가 균일하고 차곡차곡 쌓여있었으나 중간 중간에 맞물려 지은 것 또한 그 시대의 축성술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었다. 나는 이번 수원화성 답사를 통해 내가 우리나라 성곽에 관련되어 얼마나 좋지 못한 선입관에 사로 잡혀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내가 알고 있는 수원화성에 대한 지식이라고는 정약용의 거중기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화창한 봄날 수원에 도착해서 교수님과 친구들과 함께 수원화성을 따라 걸었다. 이런 성으로 어떻게 나라를 지킬 수 있었을까. 항상 이런 의문에 잠기곤 했다. 수원화성을 처음 본 느낌은 지금껏 내가 보아 왔던 우리나라의 성곽과는 느낌이 달랐다. 내가 이번에 만나고 온 수원화성은 우리나라 성곽에 대한 나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그 이후 성의 곳곳에 숨겨진 조선시대의 진보된 과학기술과 조상들의 지혜를 보면서 나의 놀라움은 경탄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대학교 들어와서 처음 떠나는 文化(문화)유산 답사지가 수원화성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교과서에서만 볼 수 있었던 화상을 직접 보게 된다고 하니 설레기도 했지만 크게 기대하지는 않았다.
수원화성 답사기 『 공심돈 』
수원 화성을 답사하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공심돈`에 대하여 답사기를 쓰면서 궁금했던 점도 많았고 우리나라의 다른 성곽에도 이러한 형태가 더 있는지 알아보고 싶어서 동북공심돈과 같은 형태의 돈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공심돈 , 수원화성 답사기 『 공심돈 』사범교육레포트 ,
서술형이며 그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나는 어릴 적부터 전쟁영화를 좋아해서 서양의 웅장한 성을 보면서 동경하곤 했다 그와 반대로 가끔씩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나라의 초라해 보이는 산성을 보면서 실망하곤 했던 기억이 난다.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수원 화성을 답사하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공심돈`에 대해서 답사기를 쓰면서 궁금했던 점도 많았고 우리나라의 다른 성곽에도 이러한 형태가 더 있는지 알아보고 싶어서 동북공심돈과 같은 형태의 돈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타 라고 불리는 벽의 간격마다 조총을 쏠 수 있는 세 개의 구멍을 내었을 뿐만 아니라 멀리 있는 적과 가까이 …(생략(省略))



공심돈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Download : 수원화성 답사기 『 공심돈 』.hwp( 24 )
다.
우리들은 정보의 바다 속에서 잘못된 편견을 항상 가지고 있다 정확히 보지도 않고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누가 하는 이야기만 듣고 눈에 보이는 것만 믿어버리는 경향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 같다. 견고해 보이는 성벽과 잘 보존되고 복원된 화성을 보면서 우리나라에도 이런 성이 있었구나 하고 내심 놀랐다.
수원화성은 돌과 벽돌의 성질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전체적인 골격은 석재로 하되 화포공격에 취약한 부분은 벽돌로 쌓아 적의 화포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