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자와 맹자, 맹자와 순자간의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4 11:58
본문
Download : 고자와 맹자, 맹자와 순자간의 논쟁.hwp
인이나 의와같은 도덕적 행위는 본성과는 무관하게 외재하는 것이며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것이라는 conclusion(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②“본성은 갇힌 채 소용돌이 치는 물과 같아 동쪽으로 트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트면 서쪽으로 흐른다. 사람의 본성으로 인과 의를 행하는 것은 버들가지로 버드나무 그릇을 만드는 것과 같다.”
-여기에서의 인의 의미는 1에서 말한 인의 의미와는 다른 순수한 개인적인 차원의 좋아함(愛)과 같은 의미이다...”
- 선불선의 나뉨은 물꼬를 동쪽으로 트면 물이 동쪽으로 흘러가고 서쪽으로 트면 물이 서쪽으로 흘러가듯 후천적인 것에 달렸다는 주장이다. 두 번째의 경우 맹자는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을 비유로 …(투비컨티뉴드 )
설명



中國 철학과 인성론 및 고자 성론, 맹자의 성론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논쟁은 분분했지만 결과적으로 서로 나눠가진 것은 없다. 인은 안에 있지 밖에 있지 않으며, 의는 밖에 있지 안에 있지 않다.” “식욕과 색욕이 본성이다.
Download : 고자와 맹자, 맹자와 순자간의 논쟁.hwp( 12 )
중국 철학과 인성론 및 고자 성론, 맹자의 성론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 인이나 의와 같은 도덕 행위도 인성에서 곧바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에 모종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주장이다.고자와맹자,맹자와순자간의논쟁 , 고자와 맹자, 맹자와 순자간의 논쟁인문사회레포트 ,
다. 이 단락의 주장은 1과2의 주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의와 같은 도덕 행위는 외재하는 것이며 후천적으로 결정된다는 내용이다. 첫 번째의 경우, 맹자는 인의와 같은 인간의 도덕 행위는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선한 본성으로부터 말미암는다고 본 반면, 고자는 후천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3. 고자 성론에 대한 맹자의 비판
맹자는 일관되게 자신의 성선론 입장에 서서 고자의 성론을 비판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비판 과정을 통해 자신의 성선론을 더욱 굳건히 세울 수 있었겠지만, 비판으로서는 그다지 생산적인 것이 되지 못했다.
,인문사회,레포트
고자와 맹자, 맹자와 순자간의 논쟁
레포트/인문사회
고자와맹자,맹자와순자간의논쟁
순서
1. china 철학과 인성론
2. 고자의 성론 : ‘성무선무불선론’
3. 고자 성론에 대한 맹자의 비판
4. 맹자의 성론에 대한 순자의 비판
5. 선진 인성론의 종합적 검토
2. 고자의 성론 : ‘성무선무불선론’
고자의 성론은 먼저 고자가 맹자의 성선론을 인지한 상태에서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이에 대해 다시 맹자가 비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그의 주장을 하나씩 검토해보자.
①“본성은 버늘가지와 같고 의는 버드나무 그릇과 같다.
③,④ “타고난 것을 본성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