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에 주요 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18:27
본문
Download :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한 주요 판례.hwp
일반적으로 권리의 행사는 신의에 좇아 성실히 하여야 하고 권리는 남용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권리자가 실제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서 그 권리행사의 기대가능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기간이 경과하도록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하여, 의무자인 상대방으로서도 이제는 권리자가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할 것으로 신뢰할 만한 정당한 기대를 가지게 된 다음에, 새삼스럽게 그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법질서 전체를 지배하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반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결과가 될 때에는, 이른바 실효의 원칙에 따라 그 권리의 행사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당원 1988. 4. 27. 선고 87누915 판결; 1991. 7. 26. 선고 90다15488 판결 등 참조).
특히 이 사건과 같이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고용관계(근로자의 지위)의 존부를 둘러싼 노동분쟁은, 그 당시의 …(skip)
Download :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한 주요 판례.hwp( 81 )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다.순서
해고와,실효의,원칙에,관에,주요,판례,법학행정,레포트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에 주요 판례 ,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에 주요 판례법학행정레포트 ,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에 주요 판례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에 주요 판례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에 주요 판례
해고와 실효의 원칙에 관한 주요 판례 연구 (노동법)
1. 실효의 원칙 적용의 기본 조건
- 실효의 원칙이 적용되기 위하여 필요한 요건으로서의 실효기간의 길이와 의무자인 상대방이 권리가 행사되지 아니하리라고 신뢰할 만한 정당한 사유가 있었는지의 여부는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경우마다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한 기간의 장단과 함께 권리자측과 상대방측 쌍방의 사정 및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정 등을 모두 고려하여 사회통념에 따라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징계해임처분의 효력을 다투는 분쟁에 있어서는 징계 사유와 그 징계해임처분의 무효 사유 및 징계 해임된 근로자가 그 처분이 무효인 것을 알게 된 경위는 물론, 그 근로자가 그 처분의 효력을 다투지 아니할 것으로 사용자가 신뢰할 만한 다른 사정, 사용자가 다른 근로자를 대신 채용하는 등 새로운 인사체제를 구축하여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을 모두 참작하여 그 근로자가 새삼스럽게 징계해임처분의 효력을 다투는 것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반하는 결과가 되는지의 여부를 가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