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광電磁氣學] 광섬유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0:50
본문
Download : [광전자기학] 광섬유에 대해서.hwp
[광電磁氣學] 광섬유에 대해서 - 대학 보고서 제출資料
Download : [광전자기학] 광섬유에 대해서.hwp( 38 )
1.이 론
설명
19세기에 J. 틴들이 자유낙하하는 물 줄기 속에서 빛이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았는데, 이것이 광섬유에 대한 원리가 formula적으로 발표된 최초의 것이다. 보호피복을 제외한 전치크기는 지름 백~수백(1 1/1000)으로 되고, 코어부분의 굴절률이 클래딩의 굴절률보다 높게 되어 있어서, 빛이 코어 부분에 접속되어 잘 빠져나가지 않고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코어의 지름이 수인 것을 다일모드 광섬유, 수십인 것을 다중모드 광섬유라 라하고 코어의 굴절률 분포에 따라 계단형,언덕형 광섬유 등으로 나뉜다. 다만, 짧은 길이의 광섬유 다발로 만들어, 그 것의 한쪽 끝으로 전달시키는 용도에만 쓰이고 있었다.
순서
다.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는 것도 있으나, 주로 투명도가 좋은 유리로 만들어진다. 그후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유리로 된 광섬유가 나타났지만, 그 당시의 광섬유는 손실이 무려 1000dB/km(1km를 진행할 때 만이 남는 손실량)에 달하였으므로, 장거리 용으로 사용하기는 불가능했다.
[광전자기학] 광섬유에 마주향하여
광섬유
[광전자기학] 광섬유에 대해서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빛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섬유 모양의 도파관.광섬유라고 한다.[광電磁氣學] 광섬유에 대해서
![[광전자기학] 광섬유에 대해서-938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4%91%EC%A0%84%EC%9E%90%EA%B8%B0%ED%95%99%5D%20%EA%B4%91%EC%84%AC%EC%9C%A0%EC%97%90%20%EB%8C%80%ED%95%B4%EC%84%9C-9381_01.gif)
![[광전자기학] 광섬유에 대해서-938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4%91%EC%A0%84%EC%9E%90%EA%B8%B0%ED%95%99%5D%20%EA%B4%91%EC%84%AC%EC%9C%A0%EC%97%90%20%EB%8C%80%ED%95%B4%EC%84%9C-9381_02_.gif)



구조는 보통 중앙의 코어(core)라고 하는 부분을 주변에서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하는 부분이 감싸고 있는 이중 원형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그 외부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합성수지의 피복을 1~2次例 입힌다. 더구나 그재료인 유리의 원료는 지구상에 무진장하므로 효용도가 높고 특징이 많다. 1966년 영국의 스탠더드 통신영구소의 카오와 호크햄이 유리의 손실을 20dB.km까지 줄일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이러한 유리로 만든 광섬유는 빛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에서 사용이 간능하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광섬유는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아나 혼신이 없고, 도청이 힘들며, 소형,경량으로서 굴곡에서도 강하며 ,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 회선을 수용할 수 있고 외부환경의 변화에더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