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20:33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_2071977.hwp
여기서는 후자의 것을 따랐다. 변형에 의하여 생성된 것으로 보았을 때는 단문에서 그것을 도출해 냈다.
그러나 그 밖의 격조사나 특수 조사, 후치사는 고유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기저 구조에서부터 반영되어야 한…(drop)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V′의 내부 구조를 다루는 것은 동사의 property(특성)에 따른 보충어(complement)선택을 명세하는 문제로서 기본 문형의 종류를 어떻게 설정하는가 하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서정목,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理論 1993, p.397
(1) 가. VP → 명시어 + V′ 나. V′ → 보충어 + V
여러 가지 기본 문형이 있고 그것의 생성 규칙 또한 있기 마련이다. ‘순이가 학생이다.’에서 는 ‘V′ → NP + 이-’와 같은 규칙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 VP의 머리어는 계사 ‘이-’로 간주된다
그리고 한 문장에 주어가 둘 있는 것으로 보이는 주격 중출 구문에서 주어가 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지 아니면 주어는 하나인데 어떤 통사적 절차에 의하여 겉으로 주어가 둘인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야 할지의 문제제기를 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계사 ‘이-’가 서술어의 머리어로 쓰였다는 것이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2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인문사회레포트 ,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2
VP의 내부 구조는 (1)과 같다. 따라서 주어 명사구와 목적어 명사구, 속격을 가진 관형어 명사구에 대하여 NP라는 범주를 부여하는 데는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본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격 理論에 의하여 S-구조에서 구조적으로 부여된다고 상정되는 주격, 대격, 속격은 기저 구조에서 다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여기서 어떤 통사사적 절차라는 것은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변형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내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내포에 의하여 생성되었다고 볼 때는 그 문장을 복합문으로 보고 설명(說明)할 수 있게 된다
3. 명사구(NP)인가 후치사구(PP)인가?
한국어의 명사구가 문장에 나타날 때에는 거의 항상 조사를 후행시키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명사구가 실현되는 절차는 단순치가 않다.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理論(이론)
Download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_2071977.hwp( 11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理論(이론)에 대하여 쓴 글입니다.